본문 바로가기
정보

청년들의 희망, 2025년 청년도약계좌 (가입조건,신청방법)

by 아보카도파민 2025. 2. 12.

🖤 2025년 청년도약계좌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,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. 너무 방대한 정보가 인터넷에 널려있는 만큼 헷갈려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간단히 요약해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. 더 자세한 정보는 꼭 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!! (주소는 맨 밑에 나와있어요-)

 

 

1. 가입 대상 조건
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다음의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:

  1. 나이: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부터 34세 이하. 단, 병역복무 기간(최대 6년)은 나이 계산에서 차감됩니다.
  2. 개인소득: 총 급여액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인 자.
  3. 가구소득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하는 자.
  4. 금융소득: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닌 자.

단,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되지만, 육아휴직급여나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는 가입 요건 소득에 포함됩니다.

 

2. 상품 내용 및 혜택

  • 납입 방식: 월 1천 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자유적립식 상품입니다.
  • 금리: 취급 기관별로 금리가 상이하며,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 자세한 금리는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정부 기여금: 납입 금액에 비례하여 소득 구간별로 정부 기여금이 지원됩니다.
  • 비과세 혜택: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.
  • 우대금리: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가 제공됩니다.

2025년 1월부터는 정부 기여금이 확대되어, 모든 가입자에게 실제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기여금이 매칭됩니다. 예를 들어, 개인소득 연 2,4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 3만 3천 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3. 가입 및 신청 방법

청년도약계좌는 국민, 신한, 하나, 우리, 농협, 기업, 부산, 대구, 광주, 전북, 경남은행 등의 취급 기관 앱을 통해 매월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가입 신청 후, 가입 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가입 가능 여부가 안내되며, 전체 과정은 신청 마지막일로부터 약 2주 정도 소요됩니다.

 

 

4. 유의사항

  • 가입 요건 확인: 가입 신청 시 개인 및 가구원의 소득 정보를 정확하게 제출해야 하며, 가구원의 소득 조회를 위한 동의 절차가 필요합니다.
  • 정부 기여금 환수: 거짓된 정보로 부정 청구를 하는 경우, 정부 기여금이 환수되며 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
  • 중도 해지 시 불이익: 중도 해지 시에는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, 가입 전에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유용한 금융상품입니다. 가입을 고려하신다면, 자신의 소득 및 가구 소득 기준을 정확히 확인하고, 제공되는 혜택과 유의사항을 충분히 이해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🖤 우리, 직장 다니면서 내 집마련 너무 힘들잖아요!!  제 친구도 실제로 작년부터 가입해서 거의 1년 가까이 돼 가는데요, 모이는 돈을 볼 때마다 뿌듯해 하며 직장 다닐 힘이 난다고 하더라구요. 이거 덕분에 미래를 바라보며 직장을 그만둘 수 없다나요.😂

티끌 모아 태산 이라는데 이건 티끌도 아니잖아요?!🤔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꼭 저축계좌상품 가입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
 

더 자세한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(https://ylaccount.kinfa.or.kr/main)에서 알아보실수 있습니다. 
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지드래곤(G-dragon) 팬클럽 가입방법  (1) 2025.02.13